미술작품을 좋아하고 집안 곳곳 직접 꾸미는 일을 즐기는 싱글녀가 꾸려나갈 집.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는 집주인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고르고 들인 물건들과 집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줬다.

그림 같은 집
외국계 금융회사에 근무하는 서경리 씨. 회사 근처로 이사를 하면서 이참에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리자고 마음먹었다. 그간 혼자 살면서도 집 꾸미기를 즐겨했기에 이번 카민디지인과 진행하는 공사 과정이 더할 나위 없이 재미있었다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공간을 하나하나 소개해줄 때마다 그때 당시를 회상하며 꼼꼼하게 자신이 원했던 바를설명해주는 모습이 더없이 행복해 보였다. 곳곳에 걸려 있는 미술작품이며 테이블, 의자 모두 그녀가 직접 편집숍 등을 돌며 구매한 것들이다. 서경리 씨는 집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일이 많지 않기에 주방은 카민 디자인이 제안해 새롭게 구성했다. 아일랜드를 포함해 ㄷ자로 길었던 주방 구조를 대면형으로 바꾸면서 다이닝 겸용의 거실을 보다 넓게 키웠다. 냉장고 옆 키 큰 수납장으로 보이는 곳은 세탁실. 내부에 남은 공간을 활용한 것으로 문을 수납장처럼 디자인해 전체적으로 어우러지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나를 위한 물건
벽면 전체를 블루 페인트로 칠해 강렬함이 물씬 느껴지는 침실. 부모님께 물려받은 자기와 스탠드 조명, 가구와 잘 어울리는 동양적인 느낌의 베딩은 태국 여행 중에 산직물로 만들었다. 서경리 씨는 컬렉팅을 좋아할 뿐 아니라 컬렉팅한 물건들을 활용해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만들어낼 줄 안다. 그동안 모아둔 김정한 화가의 작품들을 공간의 컬러에 맞게 걸어 자신을 표현하는 자립적인 모습이 엿보였다. USM의 시스템장 옆에 옷장처럼 보이는 것은 원래 침실에서 드레스 룸 사이에 있던 벽을 철거하고 만든 문이다. 공간과 어우러지도록 일부러 옷장처럼 디자인했다. 별도로 시공한 티크원목마루와도 잘 어울려 무게감이 있는 차분한 공간으로 완성됐다.
선택과 집중
컬러 활용이 돋보이는 서경리 씨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곳 중 하나가 침실 화장실이다. 변기 쪽 상부를 도장으로 마감한 후 옐로로 포인트를 주었고, 세면대가 있는 쪽은 건식의 파우더 룸으로, 변기와 샤워부스는 습식으로 나눠 서경리씨의 생활 패턴에 맞게 카민디자인이 재구성한 것. 공간 자체는 웨인스코팅을 더해 세미클래식 무드로 연출했고 대리석들 역시 취향에 맞게 골랐다. 반면에 거실에 자리한 화장실은 오리엔탈 그린천연 대리석과 짙은 컬러의 무늬목 하부장을 들여 전체적으로 심플하면서 무게감이 돋보인다. 소장하고 있는 미술작품이 많다 보니 갤러리 같은 곳으로 만들고 싶어서 침실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벽을 화이트 벽지로 마감했다. 서재의 경우 그 위에 그녀가 직접 페인팅을 해 더 좋아하는 공간이라고. 부모님께 물려받은 책상과 빈티지 가구들이 어우러지는 곳, 여기에 자신만의 색을 찾아내고 과감하게 표현하기에 시간이 지날수록 어떻게 변했을까 궁금해지는 집이다.
미술작품을 좋아하고 집안 곳곳 직접 꾸미는 일을 즐기는 싱글녀가 꾸려나갈 집.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는 집주인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고르고 들인 물건들과 집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줬다.